C, C++ 6

[C언어] C언어 기초 정리 #5 (完) (문자열, 메모리, 구조체)

[ 목차 ]1. C프로그램 구성2. 데이터형 / 변수 / 상수3. 입출력4. 연산자5. 제어문6. 1차원 배열7. 다차원 배열8. 함수9. 포인터의 이해10. 문자열11. 메모리 동적 할당12. 구조체10. 문자열   10.1. 문자 상수 / 문자열 상수 문  자문자열형태한 글자두 글자 이상표기방법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사용 예'A', 't', '\n'"apple", "banana"처리방법정수로 처리된다.주소로 처리된다.특징아스키코드와 대응된다.문자열 끝에 널 문자('\0')가 추가된다. 때문에 문자열의 길이보다 항상 1이 길다.  * 문자열은 문자열상수가 저장된 시작주소로 처리 한다. 때문에 각기 다른 문자열 길이의 끝을 알 수 있도록 문자열 끝에는 문자열의 끝을 의미하는 널 문자(’\0..

C, C++ 2025.03.19

[C언어] C언어 기초 정리 #4 (함수와 포인터)

[ 목차 ]1. C프로그램 구성2. 데이터형 / 변수 / 상수3. 입출력4. 연산자5. 제어문6. 1차원 배열7. 다차원 배열8. 함수9. 포인터의 이해10. 문자열11. 메모리 동적 할당12. 구조체8. 함수   8.1. 함수  main함수 안에 모든 프로그램을 작성하면 전체 프로그램은 복잡해지고 이해하기가 어려워진다. 따라서 기능별로 분리된 단위 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정의함으로써 코드의 재사용이나 유지, 보수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중복되는 작업을 함수로 정의하면 중복을 피할 수 있게 된다.  8.2. 사용자 정의 함수  필요에 따라 함수를 정의해서 쓸 수 있는 함수를 사용자 정의 함수라 한다.  8.2.1. 함수의 정의  ex) 리턴타입 함수명(데이터형 변수1, 데이터형 변수2, ... , 데이터형 ..

C, C++ 2025.03.18

[C언어] C언어 기초 정리 #3 (제어문과 배열)

[ 목차 ]1. C프로그램 구성2. 데이터형 / 변수 / 상수3. 입출력4. 연산자5. 제어문6. 1차원 배열7. 다차원 배열8. 함수9. 포인터의 이해10. 문자열11. 메모리 동적 할당12. 구조체5. 제어문   5.1. 제어문의 종류  조건문ifswitch반복문forwhiledo ~ while기타제어문breakcontinue    5.1. if문  조건식을 판별하여 조건이 참이면 중괄호 {}안의 명령을 수행하고, 거짓이면 중괄호 {}안의 명령을 점프 후 다음 명령을 수행. 조건에 따라 수행해야 할 명령문이 한 개일 경우 중괄호는 생략가능하다.  5.1.1. if ~ else문  둘 중 한 개를 선택하는 조건문으로 조건이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else)에 수행하는 명령이 다르다. else 다음에는..

C, C++ 2025.03.17

[C언어] C언어 기초 정리 #2 (입출력과 연산자)

[ 목차 ]1. C프로그램 구성2. 데이터형 / 변수 / 상수3. 입출력4. 연산자5. 제어문6. 1차원 배열7. 다차원 배열8. 함수9. 포인터의 이해10. 문자열11. 메모리 동적 할당12. 구조체3. 입출력   3.1. 입력 함수 - scanf  scanf 함수는 정해진 양식에 맞게 내용을 꺼내오는 함수이다. 변수 명 앞에는 주소를 의미하는 & 연산자(주소연산자)를 써야한다. ex) scanf("입력 변환문자“, &변수);문 자인수가 입력되는 형태문 자인수가 입력되는 형태%d정수 입력%lfdouble형 실수 입력%ldlong형 정수 입력%c문자 입력%ffloat형 실수 입력%s문자열 입력    3.2. 출력 함수 - printf  일반적인 출력함수로써, 표준 입, 출력에 관련된 헤더파일인 stdio..

C, C++ 2025.03.16

[C언어] C언어 기초 정리 #1 (C 프로그램 구성 / 데이터형, 변수, 상수)

[ 목차 ]1. C프로그램 구성2. 데이터형 / 변수 / 상수3. 입출력4. 연산자5. 제어문6. 1차원 배열7. 다차원 배열8. 함수9. 포인터의 이해10. 문자열11. 메모리 동적 할당12. 구조체1. C프로그램의 구성  C언어는 한 개 이상의 함수로 프로그램이 작성되는데 프로그램 실행 시 가장 먼저 호출되는 함수가 main함수이다. 때문에 C프로그램은 단 한 개의 main함수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1.1. 프로그램의 기본구조  C언어는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하는데 일반적으로 소문자를 기초하여 작성한다. 모든 명령문은 반드시 세미콜론(;)으로 끝나야 한다. 단, #으로 시작하는 구문 뒤에는 세미콜론(;)을 붙이지 않는다.  1.2. 프로그램 기본구조 분석  1) int main()        ..

C, C++ 2025.03.16

[자료구조]중간값 찾기

#include #include #include #include using namespace std; struct median { // priority_queue // less는 큰 수부터 출력, greater는 작은 수부터 출력 priority_queue maxHeap; priority_queue minHeap; // Heap에 데이터 insert void insert(int data) { // 초기값으로 max힙에 데이터를 push해준다. if (maxHeap.size() == 0) { maxHeap.push(data); return; } // max힙과 min힙의 사이즈가 같다면 중간값과 비교하여 큰 데이터는 min힙에 push 작은 데이터는 max힙에 push 한다. if (maxHeap.size..

C, C++ 2022.07.14